제이앤엠뉴스 | 진안군은 4월 20일 무렵부터 각 공동육묘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벼 육묘 작업에 돌입했다.
벼농사는 농업의 근간이나, 현재는 재배면적을 감축해야 하는 국제환경에 놓여 있으며, 특히 올해는 농식품부의 ‘벼 재배면적 조정제’ 시행에 따라 전년 대비 12%의 면적을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미 심각한 단계에 이른 고령화로 인해 농업인들이 영농현장에서 이탈하면서 각종 농업인 혜택에서 배제되는 상황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농촌에서 농업인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재배가 가장 수월한 작목은 단연 벼농사이다.
거의 모든 재배 단계에서 기계화가 이루어져 있고, 공동육묘와 공동방제가 가능하며 수확과 유통까지도 공공비축미곡 매입과 농협 매입을 통해 공동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벼농사가 농업의 근간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이에 따라서 진안군은 정부의 ‘벼 재배면적 조정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벼 재배면적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또 벼 재배농가의 56% 이상이 70대 이상인 점을 고려해 벼 육묘 지원사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으며 작년부터는 공동방제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1,559ha의 면적에 해당하는 육묘를 시행할 계획이며, 이는 전년 대비 8% 정도 줄어든 면적이다.
진안군은 공동육묘장에서 전체 육묘의 33%를 공급하고 있는데 이는 고령 농업인들의 영농 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공동육묘장, 농업기술센터 등과 협력해 육묘 상태 점검 등 초기 생육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진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