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엠뉴스 | 서울시는 상반기 일일 15만 명이 방문한 ‘차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가 시민들의 큰 호응에 힘입어 하반기 추가 운영한다고 밝혔다.
축제는 9월 28일부터 10월 26일까지 매주 일요일, 총 4회 동안 반포한강공원과 잠수교 일대에서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을 맞이한다. 단, 추석 연휴 기간인 10월 5일은 축제를 운영하지 않는다.
개막일과 폐막일에는 감미로운 노래와 악기가 어우러진 특별 프로그램이 축제의 시작과 끝을 가을 낭만으로 물들인다. 또한 힐링존, 푸드트럭, 서로장터, 무소음DJ파티 등 상반기 인기 프로그램은 유지된다.
개막일인 9월 28일에는 서초구와 연계한 ‘찾아가는 꽃자리 콘서트’를 개최한다. ‘찾아가는 꽃자리 콘서트’는 공원, 거리 등 문화공간에서 다양한 장르의 청년 예술인들이 펼치는 작은 음악회로, 예술인들에게는 소중한 무대 경험을, 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에게는 고막 힐링의 시간을 선사한다.
폐막일인 10월 26일에는 ‘잠수교 통기타 플래시몹’이 진행된다. 다양한 연령과 배경을 가진 200여 명의 연주자들이 기타라는 공통된 열정으로 하나 되어 아름다운 선율을 선보이며, 잠수교를 감미로운 음악으로 가득 채울 예정이다. 기타를 사랑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플래시몹에 참여할 수 있다.
참가자 모집 관련 자세한 내용은 9월 말 공개 예정이며, 축제 공식 누리집과 ‘그랩더기타’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반기 시민 만족도 조사 1위를 차지한 푸드트럭은 회차별 30대씩 운영된다. 기존 잠수교 남단에 집중 배치됐던 푸드트럭을 하반기에는 남단, 중간부(낙타봉), 북단에 10대씩 분산 배치해 혼잡도를 낮췄다. 푸드트럭 가까이에는 잔디와 돗자리를 추가 조성해 시민들이 여유롭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잠수교의 시그니처 프로그램 피크닉존(A형 텐트)은 가을의 색감과 분위기를 입고 돌아온다. 피크닉존은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축제 공식 누리집에서 사전 예약 후 참여할 수 있으며, 사전 예약하지 못한 경우에는 현장 접수도 가능하다. 피크닉존 외 빈백과 사일런트존(무선헤드폰 지급)은 예약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모든 푸드트럭은 다회용기를 사용해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 만들기에 동참할 예정이며, 푸드트럭 매출의 일부는 상·하반기를 합산해 연말 사단법인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기부할 계획이다.
무소음 DJ파티는 축제 전회차에 반포한강공원 달빛광장에서 18시부터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무선 헤드폰을 착용한 채, 주변 시선에 구애받지 않고 좋아하는 음악과 춤에 집중하며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참가자와 인근 주민 모두가 쾌적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서울을 대표하는 명소인 달빛무지개분수는 축제 동안 확대 운영된다. 축제 기간 12시부터 21시까지 매시 정각마다 20분간 가동되며,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은 잠수교를 걸으며 머리 위로 떨어지는 아름다운 분수쇼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는 경관조명이 더해져 환상적인 한강의 야경을 한층 더 빛낸다.
또한 ▴개성과 정성 가득한 수공예품을 판매하는 ‘플리마켓’ ▴지역 농가 직거래장터 ‘서로장터’ ▴서울과 한강의 매력을 담은 포토존 ‘서울스토리웨이’ ▴아이들을 위한 대형 에어바운스 미끄럼틀 ‘뚜뚜바운스’ ▴음악·마술 등 다양한 장르의 ‘거리공연’ 등 다채로운 즐길거리가 축제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할 예정이다.
시는 축제 기간 중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잠수교 북단부터 남단 달빛광장까지 약 1.1km 구간의 차량 통행을 통제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 대책을 가동한다(잠수교 남단 회전 교차로 정상 운영, 버스 임시 우회 등). 많은 시민이 축제를 찾을 때 반포한강공원 주차장 혼잡이 예상되는 만큼,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한다.
인근 주요 교차로와 통제 지점 14개소에서는 하루 약 70명(주야간 각 35명)의 차량 통제 요원이 질서 유지, 우회도로 안내 등 시민 안전과 동선 안내를 도맡는다.
한편, 시는 ㈜카카오모빌리티와 협력해 축제 방문객의 편의를 위한 디지털 리플릿을 제작했다. 리플릿은 맞춤형 모바일 지도를 제공하며, 방문객들은 리플릿을 통해 주요 시설(종합안내소, 응급의료부스 화장실 등) 위치와 축제 일정, 프로그램, 교통 통제 등 축제 전반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맞춤형 모바일 지도는 ‘카카오 T’와 ‘카카오내비’ 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앱 다운로드 없이 누리집에서도 접속해서 확인할 수 있다. 행사장 곳곳에는 지도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가 비치돼, 누구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차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가 하루 15만 명 이상의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문화, 여가, 휴식의 대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며, “다가오는 하반기 축제에서 가을의 낭만을 마음껏 누리며 아름다운 추억을 만드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