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엠뉴스 | 경상북도는 25일 안동시 임하댐 공원에서 ‘국내 최초의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이며 지자체와 지역 주민, 공공기관의 상생협력으로 만들어진 ‘임하댐 수상태양광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조성사업’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최영숙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과 금한성 환경부 차관, 권기창 안동시장, 심진수 산업부 국장, 김진식 대구지방환경청장을 비롯해 K-Water, 한수원,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와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함께 한 가운데 성공적인 준공을 축하했다.
이번 사업은 경북도와 안동시, 지자체가 주도하고 한국수자원공사와 한수원이 함께 추진한 사업으로 2021년 12월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1호로 지정됐으며, 2023년 3월에 산업부로부터 전기사업 허가를 받고, 2024년 7월 착공해 국내 다목적댐 최대 규모인 47.2MW에 사업비 732억원이 투입됐으며 올해 7월 30일부터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전기사업 허가 당시 ‘한전 전력망 보강 후 계통 연계’조건부 승인을 받아 사업이 지연될 우려가 있었으나, ‘태양광(낮)↔수력(밤) 교차발전’이라는 전력망 계통연계 해소 방식을 도입해 조기 준공과 상업 운전을 실현했다.
특히, 이번 집적화단지 조성사업은 처음부터 주민참여사업으로 기획됐으며, 임동‧임하면 33개 마을이 ‘임하댐 수상태양광 마을발전’ 법인을 설립하여 투자자로 참여하는 이익공유형 사업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울러, 안동은 예로부터 항일 독립운동의 발원지임을 담아, 태양광 모듈을 태극기와 무궁화 모양으로 꾸며, 임하댐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호국정신을 기리는 교육적 의미를 더하고, 야간에는 경관조명을 활용해 아름다운 빛의 향연을 선사함으로써 지역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개발할 계획이다.
발전단지가 정상 운영이 되면 연간 62,021MWh의 청정전력을 생산해 안동시 전체 가구(81,320가구)의 약 27%에 해당하는 2만2천여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연간 2만8천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로 소나무 329만여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친환경적 가치를 가진다.
또한, 20년간 222억원 정도를 지역사회에 환원하여 안정적인 소득원으로써 햇빛연금이 되고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영숙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임하댐 수상태양광은 지자체와 주민, 공공기관이 함께 만들어 가는 지역 상생의 모범적인 모델로써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발전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며 “앞으로 햇빛‧바람연금 사업을 경북도 전역으로 확대하고 단순한 발전소 기능을 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접목해 지역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지역 경제의 신성장 동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