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메기 어린고기 방류로 내수면 자원회복 선도

도내 8개 시군 17개 수면에 메기 어린고기 7만 4천 마리 방류

 

제이앤엠뉴스 | 경상남도 수산자원연구소 민물고기연구센터는 내수면 생태계 자원조성 및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하여 7월 16일 창원시 산남(주남)저수지를 비롯한 도내 8개 시군 17개 수면에 메기 어린고기 7만 4천 마리를 방류한다고 밝혔다.

 

7월 16일 창원시 산남저수지에서 개최하는 방류행사에는 창원시 내수면 어업인(동읍 내수면자율관리공동체)을 비롯하여 연구센터 직원, 창원시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여했다.

 

연구센터에서는 이날 방류행사 외에도 사천시, 하동군 등 도내 8개 시군, 17개 수면에 7월 18일까지 어린 메기 7만 4천 마리를 방류할 예정이다. 이번에 어린메기가 방류되는 수면은 시군의 추천을 받은 후 메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식에 적합하면서 방류효과가 높은 곳, 어업인의 선호도가 높은 장소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했다.

 

이번에 방류하는 메기는 연구센터에서 올해 6월부터 종자생산한 건강한 어린 물고기로, 도 수산안전기술원에서 전염병 검사를 마친 후 방류를 진행한다.

 

메기는 메기목 메기과의 민물고기로 2쌍의 수염으로 먹이나 천적을 감지하기에 고양이와 같다고 해서 영어로는 ‘캣피쉬(catfish)’라고 불린다. 밤에 먹이를 찾아 활동하면서 모기 유충 등 수서곤충을 비롯하여 외래어종인 배스나 블루길의 어린 물고기 등을 잡아먹어 외래어종 퇴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기의 살은 흰색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매운탕으로 애용된다. 내수면 어업인이 선호하는 주요 어종으로 어린 고기를 생산할 때 서로 잡아먹는 습성(공식현상)으로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봄에 생산된 메기는 그 해 가을부터 매운탕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짧은 기간 내 상품 크기로 성장하여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어종이다.

 

김재호 민물고기연구센터장은 “연구센터에서 지속적으로 도내 하천에 토속어종을 방류하여 민물고기 자원을 조성하고 있다”라며, “방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류지역 어업인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금주의 핫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