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전세계 도시와 머리 맞대 음식물쓰레기 해법 모색… 서울국제기후환경포럼

서울시, 23일(화) ‘국제기후환경포럼’ 개최… 음식물 폐기에 대한 실천적 대응 주제

 

제이앤엠뉴스 | 전 세계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오는 9월 23일 오후 2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음식폐기물에 대한 실천적 대응,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를 주제로'2025 서울 국제기후환경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도시 간 음식물류 폐기물 감축 및 전략을 모색하고, 우수 사례 공유를 통해 새로운 정책적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감축 및 친환경적 처리에 대한 서울시의 선도적 노력과 정책 경험도 공유했다.

 

'서울시 음식물 쓰레기 감축방안, 친환경 처리 등 선도적 노력과 정책 성과 세계에 공유'

 

실제로 서울시는 1998년 세계 대도시 최초로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을 시작했고, 2013년엔 음식물 종량제를 그리고 2018년에는 RFID 기반 종량제를 전 자치구로 확대했다. 그 결과 지금 서울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은 사료·퇴비·바이오가스로 100% 자원화되고 있으며 과거 매립 방식 대비 매년 28만 톤 가까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RFID 종량제와 대형감량기, 바이오가스화 전환을 통해2030년까지 온실가스 34만 1천 톤을 감축할 계획이며 이렇게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설비, 차량, 난방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포럼은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토크콘서트와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관한 각 도시 사례 및 국제사회의 노력을 살펴보는 패널 세션 등으로 구성됐다.

 

기조연설을 맡은 산드로 데마이오(Sandro Demaio) WHO-ACE(아태환경보건센터) 센터장은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 건강한 공동체와 회복력 있는 환경으로 가는 길’을 주제로 WHO-ACE가 추진 중인 새로운 식량 시스템을 소개한다. 또한, 친환경 재료를 사용한 학교 급식, 음식물 쓰레기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지는 토크콘서트에서는 국내대표 과학커뮤니케이터 ‘궤도’의 진행으로 오세훈 서울시장, 환경실천 활동을 이어가며 나의 쓰레기 아저씨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김석훈 배우, 아워플래닛 장민영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오 시장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꾸준히 음식물 쓰레기 감소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10년 만에 약 25%의 감축 성과를 냈고, 음식쓰레기 폐수 등을 바이오가스 등으로 재활용해 자원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쓰레기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순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기후위기는 시민 건강 문제로도 연결되므로 서울시민 건강관리 플랫폼이자 현재 240만 명이 이용중인 ‘손목닥터9988’, 외식업소에서 흰쌀밥 대신 잡곡밥을 선택할 수 있는 ‘통쾌한 한끼’, 어린이 눈높이 진열대에 건강식품을 배치하는 ‘우리아이 건강키움존’ 등을 도입해 기후환경 정책과 건강정책을 동시에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과학 커뮤니케이터인 궤도(유튜브 구독자 134만명)는 ‘음식물 쓰레기, 과학으로 풀다: 지속 가능한 식문화의 가능성’을 주제로 강연했다. 버리는 순간 끝이라고 생각했던 음식이 과학기술로 인해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알리고, 과학과 기술이 이끄는 변화를 통해 남기는 식탁에서 순환하는 식탁으로 나아가는 지속가능한 식문화의 미래에 대해 시민들과 소통했다.

 

첫 번째 패널세션은 무랄리 람(Muralo Ram) C40 동아시아지역 국장이 좌장을 맡아 서울시, 오클랜드, 멜버른, 방콕 대표들이 참여한 가운데 음식물쓰레기 감축의 글로벌 동향과 성공 사례를 살펴봤다. 각 도시의 음식물쓰레기 관리 정책과 직면 과제를 공유하고, 미래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두 번째 패널 세션에서는 이클레이(ICLEI) 회원 도시들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각 도시의 정책사례를 소개했다. 주슈(Zhu Shu) 이클레이 동아시아본부장의 주재로 베이징, 헬싱보리, 코르도바, 퀘존시가 도시별 성과를 발표했다.

 

이 외에도 음식물 쓰레기 관련 식문화 개선을 위해 포럼에 앞서 진행된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대상 학교급식 잔반제로 학교 대항전 결과와 시상도 진행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이미 수십년 전부터 시민들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를 실천해 온 선도도시”라며 “이번 포럼이 서울의 성과와 노하우를 공유하는 동시에 도시간 해법을 모으고, 서로 배우며, 함께 행동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앨범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