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등 전남형 평생교육 큰 호응

도민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학습 즐기도록 맞춤형 지원

 

제이앤엠뉴스 | 전라남도가 도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중인 평생교육 지원 정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남도는 모든 도민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도민 역량 강화를 위해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등 신규 시책을 운영하는 한편 기존 사업을 내실화해 체계적인 평생학습망을 구축하고 있다.

 

올해 처음 추진된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지원사업’은 학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맞춤형 사업이다. 도민 10명 내외가 팀을 꾸려 희망 강좌를 신청하면 읍면까지 강사가 직접 찾아가 교육을 실시한다. 현재 16개 시군, 1천870여 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접근성이 떨어지는 농산어촌 주민들의 호응이 특히 크다.

 

그동안 국가에서 시행해오던 ‘평생교육이용권(바우처) 지원 사업’은 올해부터 지자체로 이관돼 전남도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는 1인당 35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도민들은 원하는 강좌를 자유롭게 수강하면서 학습비 부담을 덜고 자기계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도 10월부터 본격 운영중이다. 전남도는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 강사를 양성, 어르신들이 스마트기기 활용과 미디어 정보 판별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도내 8개소 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는 총 23억 2천600만 원을 투입해 인건비·운영비·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600여 명의 장애인 학습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 환경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평생교육 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사업도 병행중이다. 시·도, 시군, 대학, 평생교육기관이 참여하는 ‘평생교육 네트워크 운영사업’을 통해 정책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강화하며, 학습 성과와 우수사례를 나누면서 평생교육 관계자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찾아가는 생활문해교실’을 운영해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기초 문해 역량을 높이고, 문해교원 연수를 통해 문해교육 교사들의 전문성도 끌어올리고 있다.

 

오는 17일에는 화순에서 ‘평생교육 어울림의 날’을 개최해 평생교육 학습자들을 비롯한 도민 모두가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화합의 장을 마련한다. 2026년에는 여수시에서 ‘전라남도 평생학습박람회’를 개최해 도민 모두가 함께 배우고 즐기는 학습 축제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강종철 전남도 인재육성교육국장은 “평생교육은 모든 도민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기본권”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평생교육 정책을 적극 발굴·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앨범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