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엠뉴스 | 베이징 2025년 11월 23일 -- CGTN(China Global Television Network)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열린 G20 정상회의에 관한 기사를 게재하고 범세계적 협력 체계를 유지해 분열을 지양하고 화합을 추구해야 한다는 중국의 의견을 중점적으로 보도했다. 이 기사에서는 개발도상국의 발언권을 확대하고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포용적인 세계 경제를 증진하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부각하고 있다.
G20 정상회의(G20 Leaders' Summit)가 출범 이래 처음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됐다. 이번 정상회의는 11월 22일과 23일 양일간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데, 이는 신흥국과 개도국이 더 이상 방관자에 머무르지 않고 국제 정책 결정의 구심점으로 다가서는 세계 협력 체계의 주목할 만한 변화를 시사한다.
리창(Li Qiang) 중국 총리는 토요일 정상회의 첫 세션에서 "단결이 곧 힘이고, 분열은 파멸"이라는 제17회 G20 정상회의 당시 시진핑(Xi Jinping) 주석의 발언을 인용했다. 지정학적 갈등, 무역 부진, 발전 격차 심화로 인해 경색된 국제 사회에 오직 단결만이 해답이라고 리창 총리는 역설했다. 리 총리는 G20 회원국들이 개도국의 발언권을 확대하고, 더 공평하고 개방적인 국제 경제 질서를 세우는 데 협조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개발도상국의 발언권 강화
중국은 G20 정상회의의 아프리카 최초 개최를 예로 삼아 현재의 다자간 국제 협력 체계에서 글로벌 사우스(the Global South) 국가의 발언권 확대가 얼마나 중요한지 역설했다.
시진핑 주석은 "국제 정세가 어떻게 전개되든, 중국은 한결같이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를 중시하고 이들과의 유대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시진핑 주석의 지도하에 글로벌 사우스 국가를 지지하고, 국제 사회에서 입지를 확대하며, 더 공정하고 공평한 국제 질서를 증진하는 데 앞장서 왔다.
중국은 2022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연합(AU)의 회원국 가입을 주도적으로 지지했다. 그리고 이런 지지 덕분에 아프리카는 국제 정책 결정에 소외되지 않고 정식 회원국 자격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의 이러한 노력은 G20에만 머물지 않는다. 중국은 BRICS의 사상 첫 회원국 확대를 지지하면서 BRICS가 영향력을 넓히고 (중국 정부의 표현을 빌리자면) '더 위대한 BRICS 협력의 새로운 여정'에 따라 조직을 재편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중국은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를 유라시아 국가의 결집에 목적을 둔 대표적인 지역 협의체로 육성하는 데 주력해 왔다. 한편, 중국을 위시한 30여 개국이 국제조정기구(Organization for Mediation, IOMed)를 공동으로 설립하면서 그동안 서구권이 독점해 온 분쟁 조정 방식에 제동을 걸었다.
또한 중국은 국제 무대에서 개발도상국의 역량과 발언권을 강화하고자 아프리카와의 10대 협력 방안부터 라틴 아메리카와의 5대 중점 프로젝트, 아랍 국가들과의 5대 협력 체계, 태평양 도서국과 결성한 6개의 협의체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협력 체계를 확장해 왔다.
개방적인 세계 경제를 건설하려는 중국의 의지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여전히 횡행하고, 패권주의와 강대국 정치 역시 시대의 흐름을 거스른 채 오히려 거세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시각에서 현재의 난국을 타개할 유일한 방도는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는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다양한 국제 무대에서 부단히 개방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개방적인 세계 경제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행동을 취해 왔음을 거듭 강조했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세계 무역 자유화에 앞장서 왔다. 올해 1월을 기준으로 중국은 30개 국가 및 지역과 총 23건의 자유 무역 협정을 맺었다.
지역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중국은 자유 무역 협정망을 점차 넓혀가며 경제 통합 범위를 확대해 왔으며, 아세안(ASEAN)과의 자유 무역 협정을 보완하고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을 이행했다. 중국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과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igital Economy Partnership Agreement, DEPA) 같은 광범위한 협력 체제에 가입 신청을 한 것은 더 높은 기준을 추구하고 세계 시장 연결망을 더욱 촘촘히 하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시사한다.
인프라 건설 및 투자는 중국이 개방을 추구하는 데 또 하나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Belt and Road) 프로젝트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및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 NDB) 같은 금융 기구를 활용해 많은 개발도상국이 경제 성장과 교역의 기회로 삼는 국경 간 인프라 연결을 지원하고 있다.























